대학원

전공소개

전공 소개

화학공학과는 화학공학의 전신인 응용화학과가 1947년 9월 22일에 설치,인가가 된 후 1957년에 대학원의 석사과정이 신설되었고, 1972년에 박사과정이 신설되었다. 1996년에 화학공학과와 공업화학과가 통합함으로서 대학원도 응용화학공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분리 및 공정공학, 재료 및 반응공학, 유기화학 및 생물화학공업, 고분자 등 4개의 세부전공으로 분리하여 운영하였고 2003년부터 응용화학공학 전공으로 통합되어, 통합교육과정을 새로이 완비하여 교육,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화학공학과는 21명의 우수한 전임 교수진, 2명의 겸임교수, 1명의 객원교수가 독립된 한 건물 내에 각종 최신 연구장비와 교육시설을 완비하여 교육과 연구에 임하고 있다. 그리고 각계에서 활동하는 졸업생과 더불어 21세기를 선도할 우수한 연구인력의 양성과 연구풍토 쇄신을 위하여 학부 구성원 모두가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그 동안 본 학과에서 배출한 수많은 졸업생들(2003년 2월 기준 : 석사 348명, 박사 41명)이 국내 굴지의 산업체, 연구소, 대학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 학과에서 추구하고 있는 학문분야는 환경, 에너지, 생물공학, 고분자, 신소재, 반도체 전자재료, 정밀화학, 공정설계및자동화, 공정최적화, 신 분리기술 등의 첨단분야를 포함한 화학공정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본 학과의 교육목표는 엔지니어로서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석, 박사로서 전문 분야의 탁월한 연구자를 배양하고, 팀워크와 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전문 연구 인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traces its origins back to the establishment and accreditation of the precursor, the Department of Applied Chemistry, on September 22, 1947. In 1957, the master's program was introduce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doctoral program in 1972. In 1996, through the merger of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nd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the graduate school was also renamed as the Department of Applied Chemical Engineering. It operated with four specialized tracks: Separation and Process Engineering, Materials and Reaction Engineering, Organic and Biological Chemical Industries, and Polymers. From 2003 onwards, it was consolidated into the Applied Chemical Engineering major, and subsequently, in 2011, the department's name was changed to Chemical Engineering.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is fully commit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by enhancing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emerging research areas. With a rich history and tradition, the department takes pride in its distinguished faculty, including full-time professors, foreign professors, adjunct professors, and researchers, all equipped with various state-of-the-art research facilities and educational resources within a dedicated building. Together with graduates active in various fields, the department strives to cultivate outstanding research talent to lead the 21st century and revitalize the research environment. Over the years, numerous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leading domestic industrie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The academic disciplines pursued by the department encompass all areas related to chemical materials and processes, including cutting-edge fields such as environment, energy, biotechnology, polymers, advanced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precision chemistry, optimization and process automation, as well as emerging separation technologi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is department are to cultivate outstanding researchers in specialized fields at the master's and doctoral levels, building upon a foundation of fundamental knowledge as engineers. Additionally, the department aims to nurture professional research personnel equipped with teamwork skills and an international mindset.

연구실 소개

연구실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연구실의 홈페이지 및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체재료연구실

지도교수
한성수
연구분야
메디컬생체재료, 고분자물성
위치
섬유관 202호

공정시스템 최적화 연구실

지도교수
정재학
연구분야
공정시스템 및 최적화
위치
CRC 611호

유기기능성소재연구실

지도교수
김재홍
연구분야
유기기능성소재, 디스플레이 및 유기태양전지
위치
CRC 616, 618호

광전자소자연구실

지도교수
전찬욱
연구분야
광전자소자
위치
화공관 101호

전자정보재료 및 나노재료용 고분자 연구실

지도교수
이승우
연구분야
고분자화학,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태양광 backsheet
위치
화공관 202호

고분자프로세싱연구실

지도교수
오태환
연구분야
고분자프로세싱
위치
섬유관 218호

유기나노재료연구실

지도교수
김성철
연구분야
유기신소재
위치
섬유관 312호

반도체 및 에너지 소재공정 연구실

지도교수
김우경
연구분야
화합물박막태양전지
위치
CRC 603, 605호

생물공학연구실

지도교수
이진태
연구분야
생물공학, 생물막, 미생물연료전지
위치
화공관 303호

에너지변환소재연구실

지도교수
안광순
연구분야
에너지재료, 태양전지
위치
CRC 613, 619호

응용생물공학 및 생체소재연구실

지도교수
서정현
연구분야
생체소재공학
위치
화공관 B101호

기능성고분자소재연구실

지도교수
조성훈
연구분야
고분자
위치
화공관 B102호

첨단에너지소재디자인연구실

지도교수
이기백
연구분야
에너지재료, (차세대)이차전지, 수소연료전지
위치
CRC 602, 607호

환경촉매연구실

지도교수
김민규
연구분야
촉매디자인, 반응성 및 열역학적 물성
위치
화공관 204호

기능성 연성바이오소재 및 계면공학 연구실

지도교수
최창형
연구분야
기능성 연성소재, 미세유체공학, 제약/화장품 특수제형, 약물전달
위치
화공관 107, 113호

나노소재공정제어연구실

지도교수
신세호
연구분야
이차전지
위치
화공관 119호

광전 및 에너지 시스템 최적화 연구실

지도교수
정유진
연구분야
화공공정, 반도체소재소자공정
위치
화공관 402호